엑셀에 주민번호 적는 법
엑셀은 숫자12자리 이상을 입력하면 지수형태로 표시된다.
그래서 13자리짜리 주민번호 적으면 요상하게 나온다.
내가 적은 건 파란색 칸의 숫자인데, 셀에는 빨간색처럼 보인다.
그래서 중간에 하이픈(-)을 적어준다.
하이픈을 매번 적기 귀찮다면? 셀 서식을 활용하자.
셀서식 단축키 : ctrl + 1
ctrl + 1 누르면 셀 서식 창이 뜬다. 거기에서 [기타] - 형식에서 [주민등록번호]를 선택 - [확인]
수식입력줄(파란색 네모)에는 내가 입력한 대로 숫자만 보이고
셀(빨간 네모)에서만 표시형식에 의해서 바뀌게 보인다.
엑셀에 전화번호 입력하는 법
전화번호를 01012345678라고 치면 맨 앞의 0이 사라진다.
그래서 중간에 하이픈을 적어준다. 그러면 맨 앞의 0이 계속 남아있다.
하이픈을 매번 적기 귀찮다면? 셀 서식을 활용하자.
셀서식 단축키 : ctrl + 1
폰번호를 적을 때 010부터 적으면 귀찮으니 010을 제외한 8자리만 적어도 되도록 해보자.
ctrl + 1 누르면 셀 서식 창이 뜬다. 거기에서 [사용자 지정] - [형식]에서 010-####-#### 이라고 적어준다.
#은 셀에 입력된 숫자 한 자리를 의미한다.
수식입력줄(파란색 네모)에는 내가 입력한 대로 숫자만 보이고
셀(빨간 네모)에서만 표시형식에 의해서 바뀌게 보인다.
이름 뒤에 '님'을 붙이고 싶다면?
셀서식을 활용하자.
ctrl + 1 누르면 셀 서식 창이 뜬다. 거기에서 [사용자 지정] - [형식]에서 @ 님 이라고 적어준다.
@와 님 사이에 한 칸 띄든 안 띄든 자유이다.
@는 셀에 입력된 문자 전부를 의미한다.
수식입력줄(파란색 네모)에는 내가 입력한 대로 이름만 보이고
셀(빨간 네모)에서만 표시형식에 의해서 '님'이 붙여져 보인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숫자 뒤에 단위 '원'도 붙일 수 있다.
숫자 뒤에 원을 직접 쓰지 않고 표시 형식으로만 원을 추가하는 이유
셀에 숫자만 존재해야 엑셀이 셀 값을 인식하기 때문이다.
그래야 나중에 함수를 활용하거나 계산을 하거나 할 수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