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OTHER'S INSIGHT43

[초생산성] 4부 제거하기 시간은 제로섬 게임이다. 우리가 어떤 일을 수락하는 것은 곧 다른 일을 거절하는 것과 같다. 그런데 좋은 것과 나쁜 것 사이에서 선택을 하면 되는 게 아니라, 좋은 것, 더 좋은 것 더욱더 좋은 것, 즉 경쟁적 기회들 사이에서 선택을 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이제 우리는 어떤 기회와 마주쳤을 때 그 기회를 수락함에 따라 잃게 되는 것이 무엇인지 곰곰이 생각해 보기만 하면 된다. 우리 대부분은 이러한 시간을 갖지 않은 채 너무 빨리 승낙을 한다... 현재 자신이 하고 있는 일에 갇혀 있다고 느끼며 너무나도 싫증이 난 상태이면서도, 변화로 인해 삶이 불안정해지는 것이 싫어서 변화를 추구하지 않는 사람들이 허다하다. 이들은 변화를 통해 무엇을 얻을지가 아니라 무엇을 잃을지에 온 정신이 쏠려 있다. .. 다음의.. 2023. 6. 27.
[초생산성] 3부 회복하기 투자은행가들이 일주일 168시간 중 120시간을 일하기 위해 은행은 밤낮 가리지 않는 행정보조와 식사, 세탁 등 여러 가사 서비스를 지원했다. 그 결과 굉장한 생산성을 보여줬다. 그러나 이것은 4년이 가지 않았다. 4년을 기점으로 신체적, 정신적 쇠약을 겪기 시작했다. 만성 피로, 불면증, 요통 등의 각종 통증, 자가 면역 질환, 부정맥, 중독, 섭식 장애 등의 강박 행동등이다. 그 결과 판단력과 윤리적 감수성이 떨어지게 됐다. 마치 처음에 오렌지를 짤 때 즙을 많이 얻을 수 있는데 계속 짜다보면 아무리 힘을 줘도 한두 방울만 나오는 것처럼 말이다. 100시간 일하면 50시간 일할 때와 똑같이 몰입하고 능력을 발휘할 수 있고 건강할 것이라는 잘못된 믿음이다. 시간을 따질 때 양만 따지면 안 되고 질을 따.. 2023. 6. 25.
[초생산성] 1장 멈춰라 P.18 나중에 나는 '모든 일에 초점을 맞추는 것'은 '아무 일에도 초점을 맞추지 않는 것'과 똑같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끝없이 이어지는 업무와 돌발 상황을 정신없이 처리하는 와중에 뭔가 특별하고 중요한 것을 성취하기란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나 우리 중 많은 사람이 하루, 몇 주, 몇 달, 몇 년, 때로는 평생을 이렇게 보낸다. p.19 노벨 경제학상 허버트 사이먼 "결국 정보의 풍요는 주의력 빈곤을 낳을 것이다." 정보는 더 이상 부족하지 않다. 부족한 것은 주의력이다. ... ...저널리스트 올리버 버크먼 "당신은 온종일 스팸에 의해 주의력을 빼앗기고 있다." p.21 잃어버린 생산성으로 금전적 손해를 보게 되는 것은 심각한 문제이긴 해도 그렇게 고통스럽지는 않다. 고통스러운 것은 그로 인해 목표를.. 2023. 6. 17.
부정적 생각이 자꾸 들 때 - 지나영(존스홉킨스대학 정신과 부교수) https://www.youtube.com/watch?v=6u7Hu7eQuiw 1. 외적동기는 효과가 길지 않다 - 외적동기의 예 : 돈, 학력, 승진 2. 외적동기의 폐해 3가지 1) 일이 가진 가치, 의미가 떨어진다. 2) 사람의 우열이 생기고 열등감이 생긴다. - 1등은 하나뿐이다. 거기에 1등도 2등에 제쳐질까 걱정한다. 3) 협력하기 싫어진다. - 내가 10등 안에 들어야 뭘 할 수 있다면 다른 사람을 제칠 생각을 하지 협력할 생각을 안 하게 된다. 3. 한국사회의 약점 -상당히 비슷해 보인다는 약점이 있다. '다 비슷하게 행동하고, 다 비슷하게 생각해야 한다'는 착각을 하게 된다. 비슷하다고 생각하다보니 줄을 세우게 된다. 아주 어릴 때부터 성적, 성취로 줄을 메기게 되니 그게 정상인 줄알고 .. 2023. 5. 7.
728x90
반응형